[전기에너지 유망기술 10] (3)마이크로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6:52
본문
Download : 100128094416_.jpg
일명 ‘저전력에너지 하베스팅(수집)’으로 많이 알려져 있따
레포트 > 기타
‘맑은 날에는 의류 속 섬유형 태양전지를, 흐린 날에는 뛰고 걷는 신체 운동에너지나 체온으로 얻은 에너지로 언제 어디서나 통신한다.
[전기에너지 유망기술 10] (3)마이크로발전
Download : 100128094416_.jpg( 63 )
스마트 더스트(먼지)의 事例(사례)처럼 극히 미세한 전력만으로 작동이 가능한 마이크로발전기가 나오면 이를 나노센서에 내장해 몸 속 혈액의 분해, 개울물의 흐름, 마당 위 바람에 얹어 스스로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된다.
설명
창원=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
다. 하지만 낮은 에너지 변환 효율과 생산 에너지의 낮은 경제성 등으로 이용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전기에너지 유망기술 10] (3)마이크로발전





[전기에너지 유망기술 10] (3)마이크로발전
[전기에너지 유망기술 10] (3)마이크로발전
1990년대에 들어 마이크로 회로 기술이 발달하고 첨단 모바일 기기가 다수 등장함에 따라 마이크로발전은 재조명 받고 있따 최근에는 航空(항공) 기 소음이나 무선주파수(RF), 나무의 대사작용을 이용하거나 심지어 신체의 혈당을 이용한 발전 기술이 연구·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순서
배터리 충전이나 교체의 불편함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면서 선진국은 이 같은 마이크로발전 형태의 未來 에너지 기술 개발과 산업화에 투자를 늘리고 있는 추세다.
입고 다니기만 해도 전기가 발생하는 의류 속 마이크로발전을 통해 스마트폰을 충전할 날도 머지 않았다. 박수동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반도체연구센터 박사는 “현재 마이크로발전 규모는 1마이크로와트(㎼)∼수 와트(W) 정도지만 일부 기술은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라며 “초저전력 프로세서나 초소형의 밀리와트(㎽)급 마이크로발전기가 개발되면 시장 분위기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했다.
오래 전부터 인체의 운동에너지·체열·진동 등 물리적 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이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있었다. 1970년대 오토매틱 시계처럼 손목의 움직임을 내부 동력(태엽)으로 이용하거나 자전거 바퀴의 회전운동을 야간 조명용 에너지원으로 이용한 事例(사례)가 대표적이다.
‘마이크로발전’은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빛·열·진동 등 소량의 미세한 에너지를 활용하는 일종의 전력에너지 확보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