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페이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09:12
본문
Download : 듀얼페이스.hwp
Martensite - 오스테나이트로부터 급랭 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상으로 탄소고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오스테나이트로부터 탄소고용도가 낮은 페라이트로 변…(省略)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다.
Austenite - 철의 탄소고용체를 오스테나이트라고 한다. 시멘타이트는 고용도가 거의 없으며 6.67% 탄소와 93.3%철로 되어있다 12개의 철원자와 4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된 사방정(orthorhombic)격자구조로 되어있으며, 단단하고 부숴지기 쉬운 화합물이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크기는 열처리후 재료의 성질에 influence을 미친다. 오스테나이트는 고온안정상으로 723이상에서 안정하다.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은 상변태후 변태된 상들의 모양에 influence을 준다.
Cementite - Fe-C 의 금속간화합물 Fe3C를 시멘타이트라고 한다. 페라이트상의 기계적인 특징은 항복강도가 낮으며 연신율이 높다.듀얼페이스 , 듀얼페이스공학기술레포트 ,
Ferrite - 철에 탄소가 고용된 고용체를 -페라이트 또는 페라이트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변형이 쉬운상으로 급랭하여 마르텐사이트 상을 얻을때 일부가 변태되지못하고 잔류하여 잔류오스테나이트 형태로 상온에서 존재한다. 페라이트처럼 탄소원자가 FCC 격자의 빈공간에 침입형으로 고용되면 격자빈공간이 페라이트보다 크기 때문에 높은 고용도를 갖는다. 페라이트에 탄소는 아주 극소량만 고용되며, 탄소원자는 격자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침입형 불순물 원자가 된다된다. 결정구조는 FCC 이며, 페라이트보다 탄소고용도가 훨씬 크다. 공석변태를 하는 0.8%의 탄소함량을 갖는 합금을 공석강이라 하며, 이보다 낮은 탄소 농도를 갖는강을 아공석강, 높은 탄소농도를 갖는 강을 과공석강이라 한다.
듀얼페이스
듀얼페이스강의 理論(이론)적 고찰과 實驗(실험)을 통한 결과를 도출하여 쓴 글입니다.
Download : 듀얼페이스.hwp( 69 )
듀얼페이스
순서
듀얼페이스강의 이론적 고찰과 실험을 통한 결과를 도출하여 쓴 글입니다. 두상의 속성 을 동시에 지니며, 경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좋은 속성 을 갖는다.
Pearlite - 강이 공석변태를 하면 생성되는 독특한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판과 시멘타이트 판이 교대로 배열된 층상조직이며 배열 방향과 간격은 부위마다 다르다. 이 상은 BCC 결정구조이며 0% 탄소의 경우가 철에 해당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