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조가 (黃鳥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5:57
본문
Download : 황조가 (黃鳥歌).hwp
,인문사회,레포트
황조가 (黃鳥歌)
황조가 (黃鳥歌)
레포트/인문사회
다.
실연의 아픔을 꾀꼬리라는 자연물에 의탁하여 우의적으로 표현하고 있따 짤막한 한 편의 노래이지만 그 속에 왕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의 작가의 심경이 잘 표현되어 있따
▶황조가의 배경설화
고구려 제2대 유리왕(재위 B.C.19- A.D. 18) 3년 7월, 왕은 골천이라는 곳에 이궁(離宮)을 지었다. 한 남자에게 서로 국적이 다른 두 여자가 아내로 있는 것이다.
4. 李明善(이명선) : 유리왕의 치희에 대한 개인적인 미련에서 불려진 것이 아니라, 종족간의 相爭을 화해시키려다 실패한 추장의 탄식으로 이해된다된다.
2. 任東權(임동권) : 고구려의 민요로서 유리왕이 창작한 것이 아니라 가창했을 따름이다. 두 여자는 서로 질투하고 다투어 화목하지 못하매, 왕은 양곡(凉谷)의 동서에 두 궁전을 짓고 그들을 각각 살게 하였다.
순서
황조가
설명
Download : 황조가 (黃鳥歌).hwp( 12 )
황조가 (黃鳥歌)황조가 , 황조가 (黃鳥歌)인문사회레포트 ,
翩 翩 黃 鳥 펄펄 나는 저 꾀꼬리
雌 雄 相 依 암수 서로 정답구나
念 我 之 獨 외롭구나 이내 몸은
誰 其 與 歸 뉘와 함께 돌아갈꼬
이 노래는 우리 나라의 현전 최고(最古) 서정시로 추정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