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ts.kr 장영실 > eats2 | eats.kr report

장영실 > eats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eats2

장영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06:00

본문




Download : 장영실.hwp




이후 혼천의(관련유물참고)제작과 함께 금속활자 갑인자의 주조를 지휘 감독하였으며, 한국 최초의 물시계인 보루각의 자격루(관련유물참고)를 만들었다. 우리 나라 역대의 역법에 원명의 역법을 도입하여 서울을 표준으로 작성한 우리 나라의 달력이다. 장영실이 1414년에는 측우기를 제작하게 하여 전국의 강우량을 측정(measurement)한 일이 있는데 이는 1639년 이탈리아에서 발명한 측우기보다 약 200년이나 앞선 것이었다. 이에 바탕을 두고 세종 24년에는 『칠정산』(관련유적참조)이라는 달력을 만들었다. 그 외에도 천체(별, 태양, 달, 행성 등)를 관측하던 천체관측기기인 혼천의(관련유적참조)를 비롯하여 해시계 등을 이용하여 천체의 움직임을 살폈다.

순서
설명

장영실




레포트/감상서평






장영실
장영실,감상서평,레포트

장영실 , 장영실감상서평레포트 , 장영실

Download : 장영실.hwp( 32 )




장영실_hwp_01.gif 장영실_hwp_02.gif 장영실_hwp_03.gif


REPORT
김승민
‘장영실을 읽고나서 ...

전통적인 농업국가였던 조선에서는 농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천문학이 매우 중시되었다. 사회가 안정되었던 세종대에는 적극적인 중농책과 함께 정치질서를 하늘의 이치와 관련시키려는 성리학자들의 influence(영향)이 있었기 때문에 과학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이에 바탕을 두고 세종 24년에는 『칠정산』(관련유적참조)이라는 달력을 만들었다. 세종 대에는 이러한 관심이 잘 반영되어 천문학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학발명품이 많이 만들어졌다. 장영실이 1414년에는 측우기를 제작하게 하여 전국의 강우량을 측정(measurement)한 일이 있는데 이는 1639년 이탈리아에서 발명한 측우기보다 약 200년이나 앞선 것이었다. 또한 흠경각을 만들어 경복궁 내에 설치하였다. 세종 대에는 이러한 관심이 잘 반영되어 천문학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학발명품이 많이 만들어졌다. 그는 제련축성농기구무기 등의 수리에 뛰어나서 1423년(세종 5)에 궁중 기술자가 되어 간의대, 천문의 등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흠경각은 옥루에 기륜(물시계)을 설치하여 물이 떨어지는 힘으로 기륜이 회전하면 흠경각 안에 있는 인형들이 북종징 등을 치면서 시간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이 시기에는 실로…(To be continued )
다. 또한 흠경각을 만들어 경복궁 내에 설치하였다. 세종 때의 뛰어난 과학자로 인정을 받고 있는 장영실은 동래현의 관노 출신이었다. 또한 측우기와 수표 등을 제작하는데도 참여하였다. 그 외에도 천체관측용 대소간의, 휴대용 해시계 현주일구와 천평일구,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measurement)하는 규표, 자격루의 일종인 흠경각 등을 제작 완성하였다. 그 외에도 천체(별, 태양, 달, 행성 등)를 관측하던 천체관측기기인 혼천의(관련유적참조)를 비롯하여 해시계 등을 이용하여 천체의 움직임을 살폈다. 우리 나라 역대의 역법에 원명의 역법을 도입하여 서울을 표준...

REPORT
김승민
‘장영실’을 읽고나서 ...

전통적인 농업국가였던 조선에서는 농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천문학이 매우 중시되었다. 흠경각은 옥루에 기륜(물시계)을 설치하여 물이 떨어지는 힘으로 기륜이 회전하면 흠경각 안에 있는 인형들이 북종징 등을 치면서 시간을 알리도록 한 것이다.
`우리 history에 있어 과학문화의 황금기는 언제인가`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서슴지 않고 세종대왕의 재위기간이라 답할 것이다.
전체 6,64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eats.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