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0:07본문
Download : 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방안.hwp
최근 China 신화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조선 식량생산국 관리(차린석 부국장, 1998. 1.20일자)도 지난 몇 년간의 자연재해로 총 280만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다른 모든 질병이나 재앙과 마찬가지로 대기근같은 집단적 재앙에 대한 구호활동도 빠를수록 좋다.
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즉시 전면적이고 포괄적인 식량원조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수천 수만의 아이들과 노인들의 희생은 불가피하다고 하였다. 이 뉴스는 95년 북한의 큰 수해이후 그곳에서 구호활동을 벌이고 있는 국제식량원조 전문가들 사이에서 곧 밀어닥칠 대량 아사의 신호탄처럼 여겨졌다. 국제 식량문제 전문가들이 우려했던 것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미 죽음을 당했다는 것이다. 5세 미만의 북녘어린이들의 문제에 국한시켜 보아도, 피해의 확산속도가 얼마나 빠르고 그…(skip)
레포트/인문사회
다.
Download : 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방안.hwp( 62 )
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대안에 대한 입니다. 국가정보원은 북쪽 내부data(자료)를 인용하여 역시 지난 3년간 250만에서 300만명의 인구 감소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북한의 기근은 살아남은 사람들에게도 깊고 오래가는 상처를 남기고 있따 특히, 북한 어린이들이 겪고 있는 피해는 앞으로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이 총력을 기울여 치유하여야 할 깊은 상처로 남아 있을 것이다.
97년 4월, 북한당국은 1백34명의 어린이들이 굶어 죽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公式 확인했다. 가난한 계층이나 차별받는 소수민족에서 먼저 참혹한 기근을 겪고 그것이 일종의 조기경보장치 역할을 하게되는 아프리카 등지의 기근과는 달리, 북한은 2천3백만 전체 인구가 비교적 고르게 식량을 나누어 가면서 그때까지 버텨 웬만한 규모의 식량조달로는 돌이킬 수 없는 최악의 상황에 이르렀다고 본 것이다. 이른바 ‘사회주의적 기근’의 전형으로써 이는 특히 위험한 징조였다. 북한어린이기아의장기 , 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북한 어린이 기아의 장기적 피해와 인류학적 대응대안
북한어린이기아의장기
I. 북한 어린이 기아 피해의 심각성
Ⅱ. 남북한 교류?통합 시기에 발생할 수 있는 問題點
1. 인구학적 불균형과 집단적 상처
2. 소수집단에 대한 범주화와 종족적 낙인
Ⅲ. 인류학적 대응방법
1.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장기 구호대책 마련
2. 한민족 교류와 통합의 시기에 대비한 장기적 연구의 필요성(必要性)
Reference List
I. 북한 어린이 기아 피해의 심각성
이미 1980년대 말부터 처음 된 북한의 식량난은 1995년의 큰물 피해로 극대화되어 지난 3년간 (1995.8.-1998.7.) 이미 350만명 이상이 아사(餓死)하였다고 한다. 시간이 갈수록 문제는 확대되고 심화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