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대의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04:09본문
Download : 명대의 사상.hwp
순서
Download : 명대의 사상.hwp( 23 )
설명
3.왕심제의 사상
왕심제(량,1483-1540)는 왕룡계와 더불어 왕학좌파의 쌍벽을 이루고 특히 그가 연 태주파는 좌파의 핵심을 이루었다. 심제는 25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성학(성학)에 뜻을 두게 되었는데 그 학문의 성격은 사회성이 강하고 실천적이라는데 있다 그는 <대학>의 격물설에 대해 독특한 해석을 하고 있다
격(격)은 격식(격식)의 격이며, 신(신)으로부터 가, 국, 천하가 모두 물이다. 그의 문하로는 서파석, 조대주, 라근계, 안산농, 하심은 등과 좌파 최후의 인물 이탁오를 들수 있다 이들 좌파는 모두 불교, 노장사사에 깊은 관심이 있었고 세상의 비난이나 공격에도 굴하지 않고 용감하게 자기 주장을 폈다.
양명학은 염정출신의 심제를 시조하는 태주파의 출현으로 명대 중기 이후 부터 성행한 서원 강학의 조류를 타고 서민층에까지 확대되어 일세를 풍미하게 되었으니 이는 명대 사상사에서 주목할만한 일이다. 물은 모두 본과 말이 있는 …(생략(省略))
3.왕심제의 사상 왕심제(량,1483-1540)는 왕룡계와 더불어 왕학좌파의 쌍벽을 이루고 특히 그가 연 태주파는 좌파의 핵심을 이루었... , 명대의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3.왕심제의 사상
,인문사회,레포트
명대의 사상
왕심제(량,1483-1540)는 왕룡계와 더불어 왕학좌파의 쌍벽을 이루고 특히 그가 연 태주파는 좌파의 核心(핵심)을 이루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