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P에 대한 문헌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22:48
본문
Download : ERCP에 대한 문헌고찰.hwp
순서
[看護學(간호학)]ERCP(내시경적역행성담췌관조영술)
내시경적 역행성담췌관조영술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ENBD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습니다.
레포트/의약보건
ERCP에 대한 문헌고찰
다.
6) 기타 : 췌액이나 담즙 채취, 생검
3. 검사대상
황달, 담도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 상복부 통증, 혈액 검사 상 만성 췌장염이나 경화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확진 및 …(투비컨티뉴드 )
,의약보건,레포트
내시경적 역행성담췌관조영술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ENBD에 관련되어도 조사하였습니다. 병변의 검사 이외에도 유두절개술 등을 이용하여 담관 및 췌관의 결석도 제거할 수 있따
2. 목적
1) 황달 : 담도 및 췌장의 기능장애로 인한 황달발생이 의심 되거나, 황달의 감별진단 목적
으로 담도 및 췌관의 상태 파악
2) 담낭 및 담도질환 진단
3) 시술 전 혹은 후, 담도 및 췌관 진단
4) 췌장질환의 진단 : 재발성 급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 가성 낭종, 농양, 종양
5) 原因 미상의 상복부 동통 : 다른 일반적인 검사를 해도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 보다 정
확한 검사를 위해 시행 한다.[간호학]ERCP(내시경적역행성담췌관조영술) , ERCP에 대한 문헌고찰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ERCP에 대한 문헌고찰.hwp( 18 )





설명
1. 정이
2. 목적
3. 검사대상
4. 검사 방법
5. 검사후
6. 합병증
* ENBD(endoscopic nasobiliary Bile Drainage)내시경적 경비적 담즙배액술
1. 정이
십이지장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관계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방사선 촬영을 실시하여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 담관, 담낭(쓸개) 및 췌장을 observe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