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여, 기대 및 지지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요인의 효과(效果)모델 검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08:11
본문
Download : 관여, 기대 및 지지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요인의 효과모델 검증.hwp
모델에서 예측되는 관계성은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였고, 이에 앞서 직장-가정 갈등요인들의 구성관념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分析(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직장관여, 직장기대, 직장지지, 가정관여, 가정기대, 가정지지,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갈등의 총 8개 요인이 유의미하게 산출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은 직장 및 가정이 관여, 기대, 사회적 지지가 각 영역의 갈등에 미치는 효능와 직장→가정 갈등 및 가정→직장 갈등의 양방향적 효능(상호성)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직장으로 인한 가정갈등과 가정으로 인한 직장갈등을 구분한 Gutek 등(1988)과 Frone 등(1992)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결과이다. 가설 1-1의 결과는 더 많은 시간을 직장영역에서 소비할수록 직장생활이 가정생활을 침범할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이성적 모델의 설명(explanation)과 일치하는 것으로 직장관여는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그에 따라 가정생활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Greenhaus, Bedeian 및 Mossholder(1987)의 연구에서도 직장관여가 높은 사람들이 직장으로 인한 가정생활을 간섭하…(To be continued )
설명
관여, 기대 및 지지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요인의 효과(效果)모델 검증
레포트/인문사회
본 연구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서 동시에 부과되는 역할을 양립시킬 수 없어 발생하는 직장과 가정간의 역할갈등을 결과변수로 하고, 이 결과변수에 ... , 관여, 기대 및 지지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요인의 효과모델 검증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관여, 기대 및 지지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요인의 효과모델 검증.hwp( 90 )
순서
본 연구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서 동시에 부과되는 역할을 양립시킬 수 없어 발생하는 직장과 가정간의 역할갈등을 결과변수로 하고, 이 결과변수에 ...
다. 먼저, 높은 직장관여가 높은 직장→가정 갈등을 야기할 것이라는 가설(1-1)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들의 예측적 관계성을 모델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과 동시에 맞벌이 부부들이 갖는 직장-가정 갈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하지만 높은 가정관여가 높은 가정→직장 갈등을 야기할 것이라는 가설(1-2)은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서 동시에 부과되는 역할을 양립시킬 수 없어 발생하는 직장과 가정간의 역할갈등을 결과변수로 하고, 이 결과변수에 effect을 주는 예측변수들의 인과적 효능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요인分析(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서 상정한 관여, 기대, 사회적 지지의 관념은 직장 및 가정영역으로 각기 구분되었고 직장→가정 갈등과 가정→직장 갈등 역시 독립적인 요인을 구성하였다.